내가 궁금해서

부자됩시다

2025년 금값 1돈 100만원 시대, 정말 올까?

김슐 2025. 4. 20. 13:58
반응형

최근 금값이 역대 최고가를 연일 경신하고 있습니다. 2025년 들어 1돈(3.75g)에 50만원을 훌쩍 넘긴 상태이며, 일부 전문가들은 "1돈에 100만원까지 간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습니다.

과연 이런 예측은 현실적일까요? 그리고 지금 시점에서 금에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1. 금값이 치솟는 이유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입니다. 세계 경제가 불안정하거나, 달러가 약세를 보이거나, 지정학적 리스크(전쟁, 분쟁, 정치 불안 등)가 커질수록 금값은 올라갑니다. 현재 금값 상승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 미국, 중국, 유럽 모두 경기 회복이 지지부진합니다.
  • 달러 약세 – 미국 연준이 금리 인하를 시사하면서 달러 가치가 떨어지고, 금값이 상대적으로 상승했습니다.
  •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긴장, 대만 해협 불안 등으로 인해 금 수요 증가.
  • 중앙은행의 금 매입 – 2024년부터 중앙은행(특히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의 금 매입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 중입니다.

2. 실제로 금값이 얼마나 올랐나?

다음은 최근 5년간 국제 금 시세 및 국내 금값(1돈 기준) 추이입니다.

년도 국제 금시세 (1온스) 국내 금값 (1돈)
2020년 $1,900 약 28만원
2021년 $1,800 약 26만원
2022년 $1,750 약 30만원
2023년 $1,950 약 36만원
2024년 $2,400 약 50만원
2025년 (현재) $2,400~2,500 약 53~55만원

이처럼 불과 5년 만에 1돈당 가격이 거의 2배 상승한 셈입니다.

3. 정말 1돈 100만원 가능할까?

1돈 100만원이 되기 위해선 국제 금시세가 최소 $4,000 이상까지 올라야 합니다. 현실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 **긍정적 요인**: 미 연준의 금리 인하 → 달러 약세 → 금값 상승
  • ✔️ **지정학적 위기 심화**: 이스라엘-이란 전쟁 가능성, 대만 해협 문제 → 안전자산 수요 증가
  • ✔️ **전 세계 중앙은행 금 보유량 확대**: 금 수요 급증
  • ❌ **부정적 요인**: 경제가 회복되고 금리 인상이 재개되면 금값은 조정 가능

결론적으로 1돈 100만원 가능성은 중장기적으론 존재하지만, 단기간(몇 달 내)은 다소 과장된 예측일 수 있습니다.

4. 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

현재 금값은 사상 최고 수준입니다. 따라서 무조건 ‘몰빵 투자’는 리스크가 큽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사람에게는 적절할 수 있습니다:

  • 불안정한 시장에서 안전자산을 찾는 경우
  • 중장기(2~5년) 보유를 고려하는 경우
  •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분산 투자하고 싶은 경우

반대로 단타(단기 수익) 목적으로는 추천되지 않습니다. 금은 원래 수익률보단 ‘가치 보존’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5. 금 투자 방법은?

다음은 한국에서 가능한 주요 금 투자 방법입니다.

  1. 실물 금 구입 – 한국금거래소, 금은방, 은행
  2. 금 통장 (KDB, 우리은행 등) – 실물 없이 금 시세에 연동된 계좌
  3. 금 ETF/ETN – 코덱스골드선물, TIGER 금은 등
  4. 해외 금 선물 거래 – 리스크 크므로 초보자에겐 비추

ETF나 금통장은 보관/도난 걱정 없이 소액으로도 시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마무리 분석

2025년 금값이 1돈 100만원을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은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지만, 단기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투자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 ‘모두가 오를 거라 할 때’가 오히려 고점일 수 있습니다. 금은 장기 분산투자용 자산으로 접근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일단 저는 발을 담가 보겠습니다.

반응형